요즘 페이퍼링에 관한 뉴스를 많이 접하는데요. 먼저 한 가지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습니다. 우리가 뉴스를 통해 접하는 페이퍼링은 정확히 말하자면 테이퍼링(tapering)입니다. 그럼 테이퍼링이란 무엇이고 왜 자꾸 언급되고 있는지, 테이퍼링과 관련된 수혜주에는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테이퍼링(tapering)이란?
테이퍼링은 우선 간단하게 말하면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테이퍼링(tapering)이란 원래의 뜻을 살펴보면 '점점 가늘어지다' 라는 의미로 2013년 당시 미 중앙은행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가 언급하면서부터 유명해지기 시작한 말입니다.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테이퍼링을 알기 전에 우선 양적완화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양적완화의 사전적 의미부터 살펴보자면 양적완화란 금리의 인하를 통해 경기 부양의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 경우 중앙은행에서 국채를 매입하는 방법 등을 통해 통화의 유동성을 높이는 정책을 말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경기가 침체되었을 경우 금리를 인하하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금리는 돈의 이율을 뜻하겠죠. 그럼 이렇게 금리가 낮아지면 무슨 현상이 일어날까요? 우리가 가진 돈을 은행에 맞길경우 이자가 낮아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기업의 경우 이자가 낮기 때문에 은행에서 대출을 많이 해 사업을 확장하게 됩니다.
즉 개인의 경우 은행이자보다는 다른 곳에 투자하여 더 많은 이윤을 추구할려고 할 것이고, 기업의 경우 이자가 낮기 때문에 많은 돈을 대출받아 사업을 확장하는 데 집중할 것입니다. 이렇게 돈이 시장에 풀리게 됨으로써 돈의 추세가 활성화되면서 경기부양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금리를 통한 경기부양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한계점은 최근 코로나19를 통해 여실히 드러나는데요. 이런 비상사태의 경우 단순한 금리인하 정책으로는 경기부양이 어려워 직접 중앙은행에서 돈을 풀게 됩니다. 이걸 바로 양적완화라고 합니다.
양적완화란 간단하게 현금을 찍어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의 경우 연준(FED)이 직접 찍어낸 달러를 통해 자산을 매입합니다. 이 달러자산을 통해 시중의 채권으로 교환합니다. 채권값으로 연준이 직접 찍어낸 달러 자산을 지급하기 때문에 정부나 시중은행으로 자금이 유입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금 유동성이 증가하고 정부의 부채비율이 줄어들게 됩니다.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의 관계
경기부양을 위해 계속 해서 돈을 찍어내면서 풀던 연방은행에서 경기가 어느 정도 부양되었다 싶을 때 양적완화를 종료하기 위해 연준은 자산매입을 줄여나가기 시작합니다. 이를 테이퍼링이라고 합니다. 양적완화가 종료시키기 위해 테이퍼링을 시작하게 되면 낮춰진 금리도 인상되면서 현금 유동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테이퍼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투자자들은 금리인상을 예상하여 가지고 있던 자산을 매각하게 되고, 신흥국에서는 달러 자금이 빠져나가 일부 국가의 경우 외환위기를 당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로 인해 테이퍼링에 관한 뉴스가 나올 때마다 공포심리에 휩싸이게 됩니다.
테이퍼링 관련주(수혜주)
양적완화가 종료되고 테이퍼링이 시작되면 금리인상이 시작됩니다. 금리인상이 되면 수혜받는 기업들이 발생합니다. 금리인상 관련 대표 수혜주는 바로 금융업과 보험업입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금융주와 보험주는 삼성생명, KB금융, 한화생명,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 금융지주, 메리츠화재 등입니다.
보통 증권 보험주의 경우 배당지급도 많이 하니 잘 판단하시고 매매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이상으로 페이퍼링이 아닌 테이퍼링이란 무엇이고 양적완화와의 관계, 금리와의 관계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원하시는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고, 오늘 하루도 건강하고 유익한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거금징수율(증거금률) 뜻 알아볼까요? (0) | 2021.08.24 |
---|---|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신청 대상 조회방법 (0) | 2021.08.16 |
5차 재난지원금 특고 프리랜서 캐시백 (0) | 2021.07.28 |
순천 트리마제 아파트 분양가(일정) 및 청약정보 (0) | 2021.07.23 |
무순위 청약 당첨 후 취소 및 포기 불이익은? (0) | 2021.07.22 |
댓글